Skip to content

Travel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을 문이 닫힐 때까지 누르고, 자판기 취출구 도어에 손을 집어넣고 제품을 기다리는 행동은 ‘빠른’ 한국인의 특징이랬다. 느린 건 참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바쁘기 때문이다. 힘들게 일하며 겨우 낸 휴가인데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최대한 알차게 보내야 옳다. 한곳에서 뭉그적거릴 여유는 없다. 느린 여행, 아름다움의 ‘슬로 모션’ ‘느리다’라는 단어는 한국에서 유독 부정적이다. 말이 느리다, 행동이 느리다, 일이 느리다. 어떤 맥락에서도 부정적이다. 그런데 빠른 게 늘 좋은 것만은 아니다. 로맨스 영화에서는 남자주인공이 미녀에게 첫눈에 반하는 장면을 ‘슬로 모션’으로 보여준다. 매력적인 여성이 머리카락을 흩날리며 등장하는 찰나의 장면은 느린 동작으로 봐야 제대로 보이기 때문이다. 여주인공의 아름다움도, 남자의 확장되는 동공도 느린 화면 안에서만 확인할
더보기 »

기후대응을 위한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자료들

키워드 | 노르웨이, 피오르, 그린스마트, 탄소제로
을 갈라 바닷물을 채운 긴 협만은 장관이다. 수만 년 전 빙하가 지나간 길은 그 깊이와 폭을 고스란히 품었다. 물길 양옆으로 병풍처럼 펼쳐진 장엄한 절벽은 높이가 천 미터가 넘고, 물속은 수백 미터다. 자욱하게 물안개가 피어오르면 머리에 풀이 수북이 난 트롤이 어슬렁거리는 그곳, 노르웨이의 피오르(fjords)다. 노르웨이 남서쪽의 게이랑에르피오르(Geirangerfjord)와 내뢰이피오르(Nærøyfjord)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자연유산이다.
키워드 | 녹색철도, 철로태양광, 에코드라이브
호그와트행 기차 플랫폼 9¾은 평범한 사람들은 찾지 못한다. 플랫폼 9와 10 사이에서 그저 높은 벽을 마주할 뿐. 하지만 플랫폼이 거기 있다고 믿고 용기를 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딱딱한 벽을 마법처럼 통과해서 열차 플랫폼에 도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50년 탄소중립으로 가는 여정도 순탄할 리 없다. 탄소중립으로 가는 제로투어를 떠날 거라면 녹색철도 플랫폼을 잘 찾아보길.
키워드 | 제로투어, 영국, 일리대성당, 중세교회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향해 달리는데 종교계도 예외는 아니다. 그중에서도 단연 눈에 띄는 종단이 영국 성공회(Church of England)다. 영국에서 국교의 지위를 갖기 때문에 영국 국교회라고도 불린다. 영국 성공회는 지난 2020년에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고, 이는 전 세계 종교 단체 가운데 가장 앞서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