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을 문이 닫힐 때까지 누르고, 자판기 취출구 도어에 손을 집어넣고 제품을 기다리는 행동은 ‘빠른’ 한국인의 특징이랬다. 느린 건 참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바쁘기 때문이다. 힘들게 일하며 겨우 낸 휴가인데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최대한 알차게 보내야 옳다. 한곳에서 뭉그적거릴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을 문이 닫힐 때까지 누르고, 자판기 취출구 도어에 손을 집어넣고 제품을 기다리는 행동은 ‘빠른’ 한국인의 특징이랬다. 느린 건 참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바쁘기 때문이다. 힘들게 일하며 겨우 낸 휴가인데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최대한 알차게 보내야 옳다. 한곳에서 뭉그적거릴
이 글은 제주관광공사 관광산업실 지역관광팀 신현철 팀장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구성한 글입니다. 카름스테이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카름의 제주 마을의 방언으로 제주의 작은마을, 동네를 뜻하는 제주어 ‘가름(카름)’과 머문다는 뜻의 ‘스테이’를 결합한 단어입니다. 제주도에 현재 13개 마을이 지정되었습니다. 숙박, 경험 스팟 및 브랜드
1. 지속가능한 여행의 대두 코로나 이후 관광산업의 변화 전 세계에서 온살가스 배출량의 8%를 관광산업이 차지한다. 항공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전 세계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한 번의 장거리 비행은 56개국의 평균적인 국민 1인의 연간 탄소배출량보다 더 많은 양을 몇 시간 만에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29th Conference of Parties, UNFCCC COP 29)는 총회 역사상 처음으로 관광을 특별주제로 지정하여 제1회 장관급 회의와 관련 행사를 개최했어요. 총회 의장을 비롯하여 각국의 장관급 각료들이 기후변화와 관광의 상호 영향을 확인하고,
1부 영상 링크 : https://youtu.be/lwKf890Q6B0?si=KTiQZFkQraAQjjJM 2부 영상 링크 https://youtu.be/Dj5X-MtNNDA?si=Ftn29VThYe-adqGs 우리 연구소가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와 함께 “도레미파솔라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준비한 영상이예요. 영상에서는 최근 발간한 사례연구집 “그린핫플을 찾아라 : 글로벌 탄소중립 관광명소 10″(보고서 다운로드 여기 클릭!)에서 다룬 사례 8곳을 중심으로 각 사례별 특징을
1. 들어가며 도쿄 스카이트리는 전 세계적으로 최고층 건축물 중 하나이자 도쿄를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하지만 도쿄 스카이트리를 그린 핫 플레이스의 사례로 선택한 이유는 이 건축물의 높이 때문만은 아니다. 도쿄 스카이트리는 오랜 기간 도쿄의 랜드마크였던 도쿄타워와는 달리 건축단계에서부터 지속가능성과 환경친화성이 고려되었고,
1. 들어가며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마치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과 같이 호주를 생각했을 때 떠오르는 대표적인 랜드마크(Landmark)이자 공학적인 아름다움을 갖춘 건축물이다. 실제로 2022년 4월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미국토목학회(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부터 세계 최고 건축상을 수상하였을 뿐만 아니라, 2007년 ‘건축
눈썰매, 스키, 스노우보드는 겨울철 수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대표적인 레저활동이다. 선착순 경쟁을 벌여야 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슬픈 소식이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눈이 급격히 줄어드는 바람에 앞으로는 눈썰매와 스키를 즐기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메마른 겨울철 흙바닥 스키장은 북극의
1. 들어가며 환경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정부는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강력한 목표를 세웠다. 1단계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과 비교해 40% 줄이는 과제이다. 이에 따라 감축 목표를 담은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약칭: 탄소중립기본법)’을 만들고 시행 중이다. 소비자들도 발맞추어 탄소중립 체계가
1. 들어가며: 기후변화의 위기에 직면한 도시 도시는 온실가스의 주요한 배출원이며, 기후변화에 취약한 곳이다. 동시에 도시는 기후변화 감축과 적응 정책이 적용되는 곳이다. 기후위기에 회복 탄력성 있는 관광도시를 만들기 위해서 지역의 인식을 파악하고 자연 과학적인 위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융복합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