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숙박

자세히 보아야 아름답다

엘리베이터 닫힘 버튼을 문이 닫힐 때까지 누르고, 자판기 취출구 도어에 손을 집어넣고 제품을 기다리는 행동은 ‘빠른’ 한국인의 특징이랬다. 느린 건 참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바쁘기 때문이다. 힘들게 일하며 겨우 낸 휴가인데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최대한 알차게 보내야 옳다. 한곳에서 뭉그적거릴

더보기 »
여행

[인터뷰] 정미현 친환경문화기획사 ‘빛나르고’ 대표

이 글은 강원도 예비사회적기업인 친환경문화기획사 ‘빛나르고’ 정미현 대표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구성한 글입니다. 본인 소개와 함께 ‘빛나르고’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빛나르고’ 대표 정미현입니다. ‘빛나르고’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해서 변화의 빛을 나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그런 미션을 가지고, 변화의 빛을 나르는 사회혁신문화기획사라고

더보기 »
여행

[인터뷰] 김경숙 속초시청 관광마케팅축제팀 팀장

이 글은 속초시청 경제관광국 관광과 관광마케팅축제팀 김경숙 팀장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구성한 글입니다. 본인 소개와 현재 맡고 계신 업무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저희는 속초시청 관광과 관광마케팅축제팀이고, 관광홍보 업무랑 관광축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축제를 개최함에 있어서 관광지로 홍보하는 부분을 더 부각해서 다른 지역과

더보기 »
여행

산, 바다, 호수를 닮은 속초의 지속가능한 지역 축제

1. 지역 축제가 남기는 찬란한 순간과 그림자 지역 축제의 앞면, 지역 경제와 문화의 활력을 불어넣는 힘 현대 축제는 단순히 즐거움과 여가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와 경제에 중요한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축제는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해

더보기 »
이동

[인터뷰] 신현철 제주관광공사 지역관광팀 팀장

이 글은 제주관광공사 관광산업실 지역관광팀 신현철 팀장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구성한 글입니다. 카름스테이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카름의 제주 마을의 방언으로 제주의 작은마을, 동네를 뜻하는 제주어 ‘가름(카름)’과 머문다는 뜻의 ‘스테이’를 결합한 단어입니다. 제주도에 현재 13개 마을이 지정되었습니다. 숙박, 경험 스팟 및 브랜드

더보기 »
이동

카름스테이, 지속가능한 제주 마을 여행

1. 지속가능한 여행의 대두 코로나 이후 관광산업의 변화 전 세계에서 온살가스 배출량의 8%를 관광산업이 차지한다. 항공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전 세계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한 번의 장거리 비행은 56개국의 평균적인 국민 1인의 연간 탄소배출량보다 더 많은 양을 몇 시간 만에

더보기 »
이동

페달링을 통해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여행 문화

기후변화 시대의 여행, 지금 숙제 중 Covid-19 종식 이후 기후변화 시대에 어울리는 인간 활동 전반의 시스템 전환 필요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이야기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다. 여행도 이 이야기의 흐름 안에 자리하고 있다. 전 세계 관광과 행정

더보기 »
이동

관광, COP 29 선언으로 처음 기후행동 의제에 포함되다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29th Conference of Parties, UNFCCC COP 29)는 총회 역사상 처음으로 관광을 특별주제로 지정하여 제1회 장관급 회의와 관련 행사를 개최했어요. 총회 의장을 비롯하여 각국의 장관급 각료들이 기후변화와 관광의 상호 영향을 확인하고,

더보기 »
여행

지속가능한 삶의 아이디어들이 숨쉬는 체험의 장 

한국은 매년 4월 22일 지구의 날을 기점으로 일주일간 환경부가 주최하는 ‘기후변화주간’을 시행한다. 올해의 슬로건은 ‘우리의 탄소중립 생활실천, 오히려 좋아!’ 였다. 하지만, 저녁 8시에 10분간 진행하는 범국민 소등 캠페인과 정부 주관 부처인 환경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실천 방안에 대한 소개 행사, 지자체나

더보기 »
이동

비행기 타면 기후악당인가요?

비행기는 우리를 지구 반대편까지 한나절에 데려다주지만, 우리가 치르는 대가도 만만찮다. 비싼 항공료에 더해서 그만큼 많은 온실가스를 대기 중에 배출하기 때문이다. 비행기가 내뿜는 온실가스를 우려한 사람들은 비행기 안 타기 운동(no-fly 혹은 flight-free)을 제안했다. 스웨덴에서 시작한 이 운동은 여러 지역에서 높은 사회적

더보기 »